고도비만
  • 고도비만수술센터
  • 고도비만
  • 수술 및 검진안내
  • 진료안내
  • 커뮤니티
진단기준
  • 고도비만 정의
  • 진단기준
  • 합병증과 위험성
  • 치료방법
진단 기준

체질량 지수 (BMI, 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는 체중 (kg)을 키 (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도를 간편하게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측정이 용이하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비만을 진단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계산식: BMI = 체중 (kg)/키 (m)2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판정

  • 저체중

    BMI 18.5 미만

  • 정상체중

    BMI 18.5~22.9

  • 과체중

    BMI 23.0~24.9

  • 비만1단계

    BMI 25.0~29.9

  • 비만2단계

    BMI 30.0~34.9

  • 고도비만(3단계)

    BMI 35.0 이상

판정 기준(WHO아시아 기준)

BMI수치 판정 기준
18.5 미만 저체중
18.5~22.9 정상 체중
23.0~24.9 과체중 (위험 체중)
25.0~29.9 비만 1단계
30.0~34.9 비만 2단계
35.0이상 고도비만 (비만 3단계)

허리둘레 (WC, Waist circumference)

허리둘레는 복부 비만을 주로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남자의 경우 90cm 이상, 여자의 경우 85cm 이상인 경우 복부비만으로 진단합니다.

체질량 지수와 함께 측정하여 복부 비만 정도를 판단합니다.

허리 둘레 측정 방법

갈비뼈 가장 아래 부분과 골반 가장 윗부분의 중간지점에서 측정합니다.

한국인의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의 위험도

분류 체질량지수
kg/m²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의 위험도
< 90cm(남자), < 85cm(여자) ≥ 90cm(남자), ≥ 85cm(여자)
저체중 < 18.5 낮음 보통
정상 18.5~22.9 보통 약간 높음
비만전단계 23~24.9 약간 높음 높음
1단계 비만 25~29.9 높음 매우 높음
2단계 비만 30~34.9 매우 높음 가장 높음
3단계 비만 ≥ 35 가장 높음 가장 높음
비만전단계는 과체중 또는 위험체중으로, 3단계 비만은 고도 비만으로 부를 수 있다.

체지방률 (PBF, Percentage of body fat)

체내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체지방 측정을 위해서는 인바디와 같은 전문 체지방 분석기 검사를 필요로 합니다.

남성은 25% 이상, 여성은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체성분 분석을 위한 인바디 검사기구들

내장지방 측정

체지방 CT (body fat CT) 검사를 통해 내장 지방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4, 5척추 부위에서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면적을 정밀 측정합니다.

복부 비만을 평가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내장 지방이 100 cm2 이상이고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율이 0.4 이상이면 내장지방형 비만으로 진단합니다.